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추석이 다가오면 장보기에 필요한 비용이 늘어나 부담이 커집니다.
    이럴 때 정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함께 진행하는 온누리상품권 특별할인 판매를 활용하면 실질적으로 가계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
   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추석을 맞아 진행되는 온누리상품권 특별할인의 할인율, 구매 한도, 일정, 구매 방법, 사용처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📅 판매 일정

    • 판매 시작일: 2025년 9월 9일(월)
    • 판매 종료일: 2025년 9월 30일(화)
    • 단,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으니 가능한 빨리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  • 명절 직전에는 물량이 빨리 소진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행사 시작일에 맞춰 구매하면 안정적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💸 할인율 & 구매 한도

    • 모바일·카드형 : 15% 할인
    • 지류(종이)형 : 10% 할인
    • 월 구매 한도 : 개인당 최대 200만 원 (모바일·카드·지류 합산)

    즉, 최대 한도까지 구매하면 약 30만 원의 실질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어 명절 장보기 비용 부담이 확 줄어듭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🛒 구매 방법

    1. 모바일·카드형 구매
      • 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IBK 등 주요 은행 앱 접속
      • 온누리상품권 메뉴 → 구매 금액 입력 → 결제 → 모바일 지갑 충전 완료
      • 간편결제 앱(카카오페이, 페이코, 제로페이 연계 앱 등)에서도 구매 가능
    2. 지류(종이)형 구매
      • 농협, 기업은행, 우체국 등 지정 금융기관 창구에서 신분증 지참 후 구매
      • 현금 또는 계좌이체로 결제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🏪 사용처

   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도입된 상품권으로, 전국 약 1,500여 개 전통시장 및 상점가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    • 구매 가능 품목 : 제수용품, 농·축·수산물, 선물세트, 생활용품, 의류, 가전, 외식 등
    • 사용 가능 매장 : 전통시장, 시장형 마트, 일부 로컬 슈퍼, 지역 특산물 온라인몰
    • 모바일·카드형 장점 : QR 결제, 잔액 관리, 분할 결제 가능

     

     

    📌 유의사항

    • 구매 한도 초과 불가, 대리 구매 및 재판매 금지
    • 유효기간(구매일로부터 5년) 내 사용해야 함
    • 일부 가맹점은 모바일 결제 미지원 → 방문 전 가맹점 여부 확인 필요
    • 환급 행사(전통시장 농축수산물 구매 시 일정 금액 환급)와 병행하면 혜택 극대화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💡 활용 팁

    • 행사 시작일에 맞춰 구매해 물량 소진 전에 확보
    • 모바일 상품권으로 구매 시 분할 결제가 가능해 잔액까지 깔끔하게 사용
    • 추석 장보기뿐만 아니라 평소 장보기, 외식, 생필품 구매에도 적극 활용

     

     

    2025 추석 온누리상품권 특별할인은 단순한 할인 이벤트가 아니라,
    가계 절약 + 전통시장 활성화 + 지역경제 회복까지 동시에 이뤄지는 착한 소비 캠페인입니다.
    이번 명절에는 꼭 미리 구매해서 장보기 부담을 줄이고 알뜰하게 활용해 보세요.